보송보송한 꼬리털 여우꼬리풀
근생엽은 거꿀피침모양이며 양끝이 좁으며 길이 20cm, 폭12-13mm로서 황록색이고 처음에는 서로 마주 안는다. 줄기잎은 작고 엽병이 없으며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포와 연결된다. 꽃은 총상꽃차례[總狀花序]로 꽃줄기 위에 달리고 비스듬히 퍼지며 화피 끝이6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선형이고 여우꼬리풀 끝이 뾰족하다. 꽃줄기는 높이 35∼40cm로 세로줄이 있다. 포와 작은포가 있고수술은 6개이며, 화피보다 짧고 씨방하위이다. 6∼7월에 푸른색꽃이 핀다. 산지의양지바른곳에서자란다.뿌리줄기는굵고짧으며위끝에묵은잎의섬유가남아있다.뿌리잎은거꾸로선 바소 모양이고 양끝이좁으며 길이 20cm, 나비 1.2∼1.3cm로서 황록색이다. 줄기잎은 뿌리잎보다 훨씬 작고 잎자루가 없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포(苞)와 연결된다.
꽃은 6~7월에 연한 황적색으로 피고 수상화서로 달리며 포와 소포가 있다. 화피는 종형(鐘形)으로 끝이 6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6개로화피보다 짧고 자방하위이다. 삭과는 난형으로 곧추서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다년초로 근경은옆으로 벋으며짧고굵으며 단단하고 수염뿌리를 내며 화경은 곧추서고 높이 35~40㎝이며 종선이 있고 전주(全株)에 털이 산생하나 뒤에 거의 없어진다. 근엽은 피침형 또는도피침상 넓은 선형으로 길이 20㎝, 너비 12~20㎜이며 양 끝이 좁아지고 여우꼬리풀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맥은 9~10개이고 황록색이며 처음에는 서로 마주 안는다. 기부에는 묵은 잎의섬유가 남아 있다. 경엽은 훨씬 작고 엽병이 없으며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 포와 연결된다.
고산지역에 자란다. 5곳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많지 않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열매는 삭과(?果)로 여우꼬리풀 달걀 모양이고 곧게서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포기나누기와 파종에 의해 번식한다. 한국 강원도(금강산), 함경남도(혜산),타이완, 중국,히말라야 등지에 분포한다.